회계의 개념
상태바
회계의 개념
  • 김승수 기자
  • 승인 2022.09.26 14: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회계(Accounting)
ACCOUNTING PRINCIPLES(회계원리입문 제 2판 참조:윤석곤외)

1)회계(Accounting)

회계란 ? "거래나 사상을 기록ㆍ분류 ㆍ요약하고 그 결과를 해석하는 기술"로 미국 공인회계사에서 정의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정의는 전통적 회계기능의 관점에서 재무제표의 작성과 관련된 기술로서 회계를 설명한 것으로 현대의 회계정의와는 약간의 개념적 차이가 있다.

즉,회계란 "경제적 정보를 측정 ㆍ전달하는 과정으로서 정보이용자의 경제적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미국회계학회는 회계의 정의를 내리고 있다.

회계는 실무와 이론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기술과 과학의 양면성에 의해 정의 될수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회계의 뜻은 기업의 경영활동에서 이루어지는 자산과 부채와 자본으 증 ㆍ감 변화를 기록하고 측정하여,정보이용자인 투자자, 채권자,경영자, 소비자,종업원,세무서 등에 회계정보를 제공하고,해석해 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정보이용자와 의사결정관련 필요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

ㆍ경영자 : 경영의사결정, 경영계획수립 등

ㆍ채권자 : 투자정보, 자금대여 및 회수 결정

ㆍ투자자(주주):수익성, 안전성, 주식보유및 처분 결정

ㆍ거래처 : 신용정보, 거래조건 및 대금 회수

ㆍ세무서 : 과세 정보

2)회계 원리(Accounting Principles)의 목적

회계원리의 목적은 다음과 같이 주목적과 부목적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①주목적

ㆍ 일정시점에서 기업의 재무상태(financial Position)를 파악한다

ㆍ일정기간에서 기업의 경영성과(Operating results)를 파악한다.

②부목적

ㆍ경영자에게 경영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ㆍ투자자에게 투자의사결정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ㆍ세금부과에 관한 과세자료로 활용한다.

ㆍ소송분쟁시 증빙자료의 이용 등이 있다.

ex) 회계원리의 주목적으로 옳은 것은 ?①

①일정기간 동안 기업의 경영성과를 파악한다.

②경영자에게 경영의사결정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③세금부과에 관한 과세자료로 활용한다.

④소송분쟁시 증빙자료로 이용 할수 있다.

3)회계원리의 분류

회계원리는 기록 ㆍ계산의 방법에 따라 단식회계( 단기부기)와 복식회계(복식부기)로 나누며,경제 주체의 영리목적의 여부에 따라 영리회계(영리부기)와 비영리회계(비영리부기)로 나눈다.

또한 회계처리 도구에 따라 수작업회계와 전산회계로 나눌 수 있다.

①기록 계산 방법에 의한 분류

ㆍ단식회계 :일정한 원리원칙 없이 현금의 수입과 지출만 기록계산하는 방법

ㆍ복식회계: 일정한 원리원칙에 따라 자산,부채,자본의 증 ㆍ감 변화와 발생 원인을 기록하는 방법으로 오류를 자동으로 발견할 수 있다.

②경제주체의 영리 여부에 따른 분류

ㆍ영리회계 :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기업에서 사용하는 회계로 상업회계,제조업회계, 농업회계, 수산업회계,금융회계 등이 있으며, 영리회계는 복식회계(부기)를 사용하고 있다.

ㆍ비영리회계 : 영리를 목적으로 하지 않는 단체 등에서 사용하는 회계로 가계회계,학교회계,교회회계,등이 있다. 비영리회계는 단식회계를 사용하고 있으나,최근에 정부에서 관청회계를 단식회계에서 복식회계로 전환하고 있다.

③회계처리 도구에 의한 분류

ㆍ수작업회계 :기장과 결산 등 모든 회계를 사람의 손으로 처리하는 회계이다.

ㆍ전산회계 : 컴퓨터를 활용하여 회계를 처리하는 것으로 현재는 전산회계를 더욱 발전시킨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전사적 자원관리)를 많은 기업들이 도입하고 있다.

ex) 영리회계로 옳지 않은 것은 ?③   [①상업회계 ②금융회계 ③교회회계 ④제조기업회계]

4)회계의 기본용어

①기초(beginning) : 한 회계년도가 시작되는 시점이다( 예, 1월 1일)

②기말(ending) : 한 회계년도가 끝나는 시점이다(예; 12월 31일)

③전기(last year) : 앞 회계년도이다. 즉 현재가 2022년도라면 2021년도가 전기이다.

④차기(next year) : 다음 회계년도이다. 즉 현재가 2022년도라면 2023년도가 차기이다.

⑤당기(Current business year) : 현재의 회계년도 이다.

⑥회계단위(accounting unit) : 회계를 기록하고 계산하는범위이다.즉 서울 본점과 부산지점이 있는 경우 회계처리를 본점과 지점을 같이 할 것인가 또는 각각 할것인가를 결정하는 단위이다.

⑦회계기간(accounting period) : 기업은 계속 기업이므로 기업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인위적으로 구분한 영업기간을 회계기간 또는 회계년도라 한다. 영업년도 라고도 하며 보통 6개월, 1년간을 단위로 한다.

ex) 보기에서 회계정보이용자를 모두 고르면 ? ⑤ [ ㄱ.  주주 / ㄴ. 종업원 / ㄷ. 채권자 / ㄹ. 미래의 투자자]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 ㄷ

④ ㄴ,ㄹ

⑤ ㄱ,ㄴ,ㄷ,ㄹ(주주, 종업원,채권자,미래의 투자자)

5) 회계의 발달과정

회계의 기원은 이탈리아의 수학자인 루카파치올리(Fra Luca Pacioli)가 베니스에서 출간한 『산술 ㆍ기하 ㆍ비례및 비울 총람』을 회계의 시작으로 보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시대 개성을 중심으로 한 개성부기인 "송도사개치부법"이 사용되었다.

오늘날에는 컴퓨터의 등장으로 회계 처리 방식이 전산화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다. 즉, 회계정보시스템(AIS : Accounting Information System)의 이용이 확대되고 있다.

발달과정을 간략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①송도부기

ㆍ고려시대 개성상인에 의하여 창안되어 1945년까지 이용되었다.

ㆍ일명 개성부기, 사개송도치부법이라 한다.

ㆍ개성부기는 이탈리아 부기보다 150~200년 전에 창안되어, 사용되었다고 하나 당시의 자료가 부족하여 세계적으로 인정을 받지 못하고 있다.

ㆍ우리나라는 1880년 ~1890년경에 서양의 복식부기를 도입하였다.

②이탈리아 부기

ㆍ13세기경 베니스,피렌치,제노아 등 상업도시에서 회계가 발달되었다.

ㆍ1494년에 루카파치올리의 저서 『산술 ㆍ기하 ㆍ비례 및 비율 총람』(Summa de Arthmetica Geometria, Proportiniet Oroportionalita)에 복식부기가 기술되어 있다.

ㆍ16세기 독일,프랑스,네덜란드 등지에 보급하였다.

ㆍ17세기 대차대조표 작성,현대 부기로 완성되었다.

ㆍ18세기경 영국에서 원가계산제도,회계감사제도로 발전하였다

ㆍ20세기 초 미국,영국에서 실무적으로 발전하였다.

※회계의 혁명이 시작되다

국제회계기준(IFRS) :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IFRS는 국제회계기준위원회가 만든 개정된 국제회계기준이다. 즉 전세계는 국제회계기준의 통일로 회계혁명이 일어나고 있다. 한국은 IFRS를 직역수준으로 번역한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 - IFRS)을 제정 ㆍ공포 하였다.

 

회계의 기본 개념

1.회계의 의의와 목적

1)회계의 의의 

회계란 정보이용자들이 합리적인 판단이나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기업실체(경제적 실체)의 경제적 활동을 화폐로 측정 ㆍ기록하고 이에 관한 정보를 수집 ㆍ요약하여 정보이용자에게 전달하는 과정이다.

회계정보이용자와 필요한 정보

ㆍ투자자 : 현재와 미래와 투자위험이나 투자수익을 평가할 수 있는 정보

ㆍ채권자 : 원금과 이자의 지급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정보

ㆍ경영자 : 경영계획 ㆍ통제 등 경영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

ㆍ종업원 : 기업의 안정성,성장성 급여와 퇴직금의 지급능력을 평가 할수 있는 정보

ㆍ정부 : 기업활동의 규제 ㆍ조세정책결정 등에 필요한 정보

ㆍ거래처 : 거래의 지속성,매입채무 등의 지급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정보

ㆍ고객 : 당해 기업과 거래관계가 있는 경우 A/S등 기업의 존속가능성에 대한 정보

ㆍ일반대중 : 기업의 성장 추세,최근 동향 등을 평가할 수 있는 정보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