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강오륜(三綱五倫)이란 유교에서 기본이 되는 도덕 지침이라 알려져 있다.
삼강(三綱)에는 다음의 세 가지가 있다.
-군위신강(君爲臣綱): 임금은 신하의 '벼리'가 되어야 한다.
-부위자강(父爲子綱): 아버지는 자식의 '벼리'가 되어야 한다.
-부위부강(夫爲婦綱): 지아비는 지어미의 '벼리'가 되어야 한다.
여기서 '벼리'(綱,일이나 글의 뼈대가 되는 줄거리)는 ‘규제하여 총괄하는 사람’이라는 의미로, 각각 임금은 신하의, 아버지는 자식의, 지아비는 지어미의 본보기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나, 후대에 다음과 같이 변질되기도 한다.
-군위신강(君爲臣綱) : 신하는 임금을 섬기는 것이 근본이다.
-부위자강(父爲子綱) : 자식은 부모를 섬기는 것이 근본이다.
-부위부강(夫爲婦綱) : 아내는 남편을 섬기는 것이 근본이다.
다음으로 오륜(五倫)에는 다음 다섯 가지가 있다.
-부자유친(父子有親): 부모와 자식 사이에는 친함이 있어야 한다.
-군신유의(君臣有義): 임금과 신하 사이에는 의로움이 있어야 한다.
-부부유별(夫婦有別): 부부 사이에는 구별(분별)이 있어야 한다.
-장유유서(長幼有序): 어른과 아이 사이에는 차례와 질서가 있어야 한다.
-붕우유신(朋友有信): 벗 사이에는 믿음이 있어야 한다.
여기서 친함(親)이란 단순히 친밀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사랑(仁)을 의미하는 것이며, 구별(別)이란 단순히 구별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부부 간의 역할이 다르며 이를 존중한다는 예(禮)의 정신을 담고 있다.
삼강오륜의 親, 義, 別, 序, 信은 인의예지신(仁, 義, 禮, 智, 信)이라는 유교의 다섯 가지 기본적인 덕목을 반영하고 있다. 사람이라면 누구에게나 반드시 필요한 삼강오륜을 배우고 실천하자면 교학상장(敎學相長)의 과정을 밟아야 한다.
교학상장은 ‘가르침과 배움이 서로 진보(進步)시켜 준다’는 뜻으로, 사람에게 가르쳐 주거나 스승에게 배우거나 모두 자신(自身)의 학업(學業)을 증진(增進)시킴 또는 가르치는 일과 배우는 일이 서로 자신(自身)의 공부(工夫)를 진보(進步)시킴을 뜻한다.
삼강오륜이 아무리 좋다 한들 교학상장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사람이 교만하고 안하무인으로 자신 외는 다 아래로 보는 편견을 지니기 쉽다. 특히 미래에는 남을 이기는 것이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능력이 경쟁력이기 때문이다.
교만(驕慢)은 잘난 체하며 뽐내고 건방짐을 의미한다. 다음은 교만에 관한 한자이다.
-안중무인(眼中無人) : 눈에 보이는 사람이 없다는 뜻으로, 방자하고 교만하여 다른 사람을 업신여김을 이르는 말.
-총증항극(寵增抗極) : 총애(寵愛)가 더할수록 교만(驕慢)한 태도(態度)를 부리지 말고 더욱 조심하여야 함.
-복고여산(腹高如山) : (1) 배가 산처럼 높다는 뜻으로, 아이 밴 여자의 배부른 모양을 이르는 말. (2) 부자의 거만스러운 모습을 이르는 말.
-손자삼요(損者三樂) : 사람의 몸에 손실이 되는 세 가지. ≪논어≫에 있는 말로, 분에 넘치게 즐기는 것, 일하지 아니하고 노는 것을 즐기는 것, 주색을 좋아하는 것을 이른다.
-자고자대(自高自大) : 스스로 자기를 치켜세우며 잘난 체하고 교만함.
-걸견폐요(桀犬吠堯) : 걸 왕의 개가 요임금을 향하여 짖는다는 뜻으로, 각자 자기의 주인에게 충성을 다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악인의 앞잡이가 선량한 사람을 공격함을 비유하기도 한다. ≪사기(史記)≫의 <회음후전(淮陰侯傳)>에 나오는 말이다.